기와집과 한옥, 공간에 담긴 조선의 삶
“한옥”이라는 말만 들어도 어떤 이는 곧장 고즈넉한 마루와 대청, 창 너머로 보이는 정원을 떠올린다. 또 어떤 이에게는 단단하고 곧은 기둥, 기와가 얹힌 처마 끝의 곡선, 햇살이 머무는 마당이 떠오를지 모른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한옥은 단순한 옛날집이 아니라, 조선이라는 시대가 만들어낸 삶의 질서와 미학의 집합체였다. 초가집이 민초들의 생활 기반이었다면, 기와집은 유교적 가치관, 신분 질서, 자연과의 조화를 구현한 정수였다. 오늘날 아파트와 오피스텔, 아파텔 같은 주거 형태가 편의성과 경제성 중심으로 진화했다면, 조선의 기와집은 인간과 가족, 사회와 자연이 어떻게 균형 있게 공존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품고 있었다. 초가집에서 기와집으로: 신분과 자원의 경계선조선시대의 주택은 명확한 신분질서를 반영..
2025.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