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

도시 속 다세대 주택과 빌라의 탄생 한국의 도시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단어, 바로 ‘아파트’다. 하지만 도시 주거의 흐름을 면밀히 살펴보면, 아파트만큼이나 오랜 시간 도시의 빈틈을 메워온 존재가 있다. 바로 다세대 주택과 빌라다.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서울과 수도권 곳곳의 주거를 구성해 온 이 유형은, 대단위 개발 이전의 도시 주택 실험이자,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현실적 대안이었다. 지금은 ‘노후화’ ‘범죄율’ ‘투자 사기’ 등의 부정적 이미지가 씌워졌지만, 한때는 많은 이들에게 내 집 마련의 첫 희망이었고, 지금도 도시 곳곳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급변하는 도시, 인구와 주택의 불균형1970년대 후반, 한국은 고도 성장기를 지나며 본격적인 도시 집중화를 맞이했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는 매년 수십만 명의 인구가 유.. 2025. 4. 11.
기와집과 한옥, 공간에 담긴 조선의 삶 “한옥”이라는 말만 들어도 어떤 이는 곧장 고즈넉한 마루와 대청, 창 너머로 보이는 정원을 떠올린다. 또 어떤 이에게는 단단하고 곧은 기둥, 기와가 얹힌 처마 끝의 곡선, 햇살이 머무는 마당이 떠오를지 모른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한옥은 단순한 옛날집이 아니라, 조선이라는 시대가 만들어낸 삶의 질서와 미학의 집합체였다. 초가집이 민초들의 생활 기반이었다면, 기와집은 유교적 가치관, 신분 질서, 자연과의 조화를 구현한 정수였다. 오늘날 아파트와 오피스텔, 아파텔 같은 주거 형태가 편의성과 경제성 중심으로 진화했다면, 조선의 기와집은 인간과 가족, 사회와 자연이 어떻게 균형 있게 공존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품고 있었다.  초가집에서 기와집으로: 신분과 자원의 경계선조선시대의 주택은 명확한 신분질서를 반영.. 2025. 4. 11.
초가집에서 시작된 한민족의 주거문화 – 흙, 풀, 바람과 함께 살던 집 “지붕이 볏짚이라니, 비라도 오면 어쩌지?”지금의 눈으로 보면 초가집은 너무나도 원시적이고, 불편하고, 곧 무너질 것 같은 느낌을 준다. 하지만 실제로 초가집은 한반도의 기후와 사회적 조건에 맞춰진 최적의 주거 형태였다.한반도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특히 여름엔 덥고 습하며, 겨울엔 춥고 건조하다. 이런 환경에서 가장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가 바로 흙, 나무, 그리고 짚이었다. 특히 볏짚은 논농사를 짓는 농경 문화 속에서 흔하게 나오는 부산물이었기 때문에, 따로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지붕 재료로 사용할 수 있었다.초가집의 지붕은 단순히 ‘덮기’ 위한 용도가 아니었다. 볏짚을 빽빽하게 얹어 만든 지붕은 여름엔 강한 햇빛을 차단하고, 겨울엔 열을 보존하는 천연 단열재였다. 게다가 볏짚이 숨을 쉬기 .. 2025. 4. 10.